전립선질환 | 송도원비뇨의학과

전립선질환

전립선질환

전립선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크게 전립선 비대증, 전립선 염증, 전립선암이 있습니다.
증상이 비슷비슷하므로 확인을 잘 해보아야 합니다.

증상

증상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
배뇨 곤란
소변 지연/약한 소변줄기
회음부 불편감
회음부 불편감 X ●(급성시) X
체중감소/요통/혈뇨 X X ●(진행시)

IPSS
(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,
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)

문항 항목 내용 0점 1점 2점 3점 4점 5점
1 소변이 마려울 때 참기 힘들었던 경우
2 소변을 보기 위해 기다렸던 경우
3 소변 줄기가 약하게 느껴졌던 경우
4 소변이 중간에 끊겼던 경우
5 소변을 본 후 잔뇨감이 있었던 경우
6 하루 중 소변을 자주 본 경우
7 밤에 잠에서 깨어 소변본 횟수
합계 점수 증상 정도
0~7점 경증 (Mild)
8~19점 중등도 (Moderate)
20~35점 중증 (Severe)

합계 점수가 8점 이상이면
전립선 검사를 권합니다.

전립선 검사

증상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
직장수지검사 (DRE)
소변검사(세균) ●● (중요)
전립선 초음파 ●● ●●
PSA 혈액검사 ●●●
조직생검 (Biopsy) X X ●●●
요속검사 ●●
  • 요속검사란?(=요류역학검사)

    배뇨 시 소변의 흐름 속도와 양을 측정하여 배뇨기능에 이상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검사입니다.

    혈압약 드시며 혈압을 측정하듯이 상태가 어떠한지 평가하고 약물반응을 확인하는 데에 쓰이는 모니터링 개념의 검사입니다.

  • 요속검사란?

    소변이 충분히 마려운 상태(보통 150~200cc 이상)에서 시행합니다.
    검사실 내 전자식 측정 변기에 자연스럽게 소변을 봅니다.
    검사 장비가 실시간으로 소변의 흐름을 그래프와 수치로 기록합니다.
    필요시 배뇨 후 잔뇨(방광에 남은 소변량)을 방광 스캐너로 측정합니다.

치료

치료방법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
약물치료 ●●● (1차) ●●● ● (호르몬치료)
항생제 X ●●● X
수술/시술 ●● (TURP 등) X ●●● (절제술, 방사선 등)
감시 및 추적관찰 ● (경미할 경우) ● (만성일 경우) ● (저위험 암)

전립선비대증을 치료 하는 이유

  • 배뇨 증상 개선

    01

    소변 줄기 약함, 잔뇨감, 배뇨 지연, 빈뇨, 야간뇨 등이 완화됩니다. 화장실을 자주 가는 불편함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.

  • 수면의 질 향상

    02

    야간뇨가 줄어들면서 밤에 깨는 횟수가 줄고 깊은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됩니다. 피로감과 일상생활의 집중력이 향상됩니다.

  • 합병증 예방

    03

    대표적인 합병증
    요폐(소변이 아예 안 나오는 응급상태)
    반복되는 요로 감염
    방광 기능 저하 신장 손상(수신증 등)

  • 삶의 질(QoL) 개선

    04

    배뇨로 인한 스트레스가 줄고, 사회생활 및 외출 시 자신감 증가 일상생활에서의 활동 제약 감소

  • 요속(소변 흐름 속도) 향상

    05

    치료 후 요속검사에서 수치가 개선되는 경우가 많아 객관적으로도 치료 효과 확인 가능

전화 네이버예약 카카오톡